[Photoneo] 머신 비전의 혁명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움직이는 물건을 상상해 보세요. 물건이 로봇의 손이 닿는 곳에 도달하면, 로봇은 3D 비전 시스템을 통해 물건을 인식하고, 하나씩 피킹하여 다른 위치에 놓습니다. 로봇은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물건을 분류할 수도 있습니다. 기존에는 3D 감지 한계로 인해 컨베이어 벨트의 움직임을 멈추지 않고는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사이클 타임이 길어지고 …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움직이는 물건을 상상해 보세요. 물건이 로봇의 손이 닿는 곳에 도달하면, 로봇은 3D 비전 시스템을 통해 물건을 인식하고, 하나씩 피킹하여 다른 위치에 놓습니다. 로봇은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물건을 분류할 수도 있습니다. 기존에는 3D 감지 한계로 인해 컨베이어 벨트의 움직임을 멈추지 않고는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사이클 타임이 길어지고 …
빈 피킹(박스 안에 무작위로 위치해 있는 비정형 형상의 제품들을 인식하고 작업자가 희망하는 제품을 집어내어 특정 위치에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은 가장 일반적인 로봇 작업 중 하나이지만 가장 큰 기술적 문제가 발생하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박스 안에 있는 물체를 집어내어 다른 부품이나 환경에 충돌하지 않고 안전하게 정해진 위치에 놓기 위해서는 뛰어난 비전과 로봇 인텔리전스를 장착하고 있어야 합니다. 로봇 …
씨메스의 직원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만큼, 사무실 공간도 점점 확장이 되고 있답니다! 지금의 씨메스 청담동 사옥도 2020년 확장 이전을 한 공간인데요, 이 공간도 이제 좁아져서 옆 건물까지 확장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공사가 끝나면 새로워진 공간도 함께 보여드릴텐데요, 그 전에 먼저 씨메스 사옥의 자랑(?)인 7층 사내 라운지를 소개하려 합니다. 7층에는 언제나 간식이 채워져 있습니다. 먹고 …
3D 비전과 같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로봇 공학은 산업 공정의 모든 영역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COVID-19의 발생으로 인해 빠르고 정확한 주문 처리 및 효율적인 공급망을 위해 자동화를 적용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스마트 자동화를 통해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는 물류 프로세스가 있습니다. 바로 ‘디팔레타이징’입니다. 디팔레타이징이 무엇인가요? 디팔레타이징은 팔레트에 …
공장에 필요한 것은 제품 자체보다는 더 많은 혁신과 엔지니어링 스킬이다. 일론 머스크 기존의 전통적인 자동화는 특정한 태스크만을 수행하는 로봇 팔을 상징했습니다. 로봇 팔은 기계일뿐, 공장의 양산 라인에서의 비정형 공정은 아주 어렵거나 불가능하여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을 대신할 수 없었습니다. 실제로 아마존의 물류 센터에서는 로봇을 도입한 뒤 사고가 늘어났다는 보도도 있었죠. 실제로 로봇이 사람이 하기 …
CMES 로봇 물류 시스템 – Depalletization 데모 센터 (in 한국물류설비제작소 물류 공장) 더 보기 »
기존 산업용 로봇은 로봇 엔지니어의 티칭이 수반되는 수준의 자동화만 가능했습니다. 로봇이 인간이 하기 어려운 일을 할 수 있게 하려면 눈 역할을 하는 비전과, 로봇의 두뇌를 담당할 기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업체는 비전만을 전문으로 하거나, 로봇을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존의 비전 및 로봇 업체에 대해 설명하고, 씨메스는 어떤 점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는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